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내가 만든 블로그의 포스팅이 검색엔진 노출이 좀 더 잘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소개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는 본인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검색수집, 색인반영 현황을 제공하고 검색에 친화적인 사이트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진단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선행 작업내용]

본인이 개설한 블로그의 카테고리 관리에서 카테고리를 하나 추가해줍니다. 그리고 포스팅 하나를 미리 작성해 놓으세요. 포스팅이 하나도 없으면 서치어드바이저에 rss와 sitemap.xml 등록시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 추가
서치어드바이저 등록을 위한 포스팅 1개 등록

 

위의 선행작업이 완료 되었으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해당 블로그를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검색]

검색엔진을 통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고 해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웹마스터 도구]

본인의 네이버 계정에 접속하신후 웹마스터 도구 버튼을 선택하여 다음단계를 진행합니다.

 

[블로그 사이트 등록]

본인이 개설한 블로그의 주소를 넣고 사이트 등록을 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해당하는 사이트가 본인 소유의 사이트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본인은 티스토리에 해당 HTML태그를 붙여 소유 확인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해당하는 태그를 복사한 다음 티스토리의 편집 <head> 섹션에 넣어줍니다.

 

*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아래 화면 다음의 티스토리 관리 사이트 작업을 먼저 해주셔야 합니다.

 

티스토리에 작업이 끝났으면 소유확인 버튼을 눌러 다음을 진행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1]

네이버에서 사이트 소유확인전 블로그 관리화면에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메타태그를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블로그 관리화면에서 스킨편집을 클릭해주세요.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2]

우측상단의 html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3]

네이트 어드바이저 소유권 확인에서 복사해온 메타태그를 <head> 안에 붙여넣고 적용을 누르면 모든 작업이 끝납니다. 다시 네이버의 소유권 확인 화면으로 돌아가 소유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권 등록 확인 완료]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방지를 위한 보안절차를 통과하시고 확인을 누르면 사이트 소유 확인이 완료됩니다.

 

[사이트 등록확인]

소유권등록이 끝나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사이트 목록에 위에서 작업한 사이트가 등록되게 됩니다.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여 상세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블로그 rss제출]

본인의 블로그 사이트를 뒤에 /rss를 추가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여 rss를 제출합니다.

rss는 영어 소문자로 작성해야합니다.(제출시 자동방지 등록 왓챠가 실행됩니다.)

 

*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 또는 ‘풍부한 사이트 요약’이라 한다. RSS는 그 자체로 풀 텍스트가 아니라, E-mail 리스트처럼 헤드라인만 볼 수 있도록 하고, 원할 경우 클릭을 통해 해당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온라인상에 콘텐츠를 배열하는 HTML과 이를 전송해주는 E-mail의 장점을 하나로 묶은 기술로, 언론사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의 업데이트 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보내거나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RSS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운영자는 별도로 콘텐츠를 구성하거나 E-mail 발송 작업을 하지 않고도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새로운 내용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한 자리에서 쉽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블로그 sitemap.xml제출]

사이트맵 제출항목을 선택하시고 입력란에 영어 소문자로 sitemap.xml을 입력한후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맵 확인시 자동방지 등록화면 왓챠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블로그 주소뒤에 /sitemap.xml를 붙이시고 확인하시면 본인 블로그의 구조가 xml문서형태로 보여지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웹페이지 최적화 확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내 사이트가 잘 등록 되어있는지 웹페이지 최적화를 통해 확인하도록 합니다.

robots.txt(스크래핑 관련) 파일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 robots.txt는 검색로봇에게 사이트 및 웹페이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국제 권고안입니다. robots.txt 파일은 항상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해야 하며 로봇 배제 표준을 따르는 일반 텍스트 파일로 작성해야 합니다. 네이버 검색로봇은 robots.txt에 작성된 규칙을 준수하며, 만약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robots.txt 파일이 없다면 모든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간주합니다. 간혹 특정 목적을 위하여 개발된 웹 스크랩퍼를 포함하여 일부 불완전한 검색로봇은 robots.txt 내의 규칙을 준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인 정보를 포함하여 외부에 노출되면 안 되는 콘텐츠의 경우 로그인 기능을 통하여 보호하거나 다른 차단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처를 통한 검색강화 방법을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다음포스팅은 구글 콘솔 서치를 통한 검색강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