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검색 강화 2강]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한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이용해 네이버 검색 강화에 이어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하여 검색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대해 알고 싶으신분은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하세요.
Search Console 정보
Google Search Console은 Googl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사이트의 Google 검색결과 인지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줍니다. Search Console에 가입하지 않아도 Google 검색결과에 포함되지만 Search Console에 가입하면 Google의 입장에서 사이트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Search Console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보고서로 다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Google에서 사이트를 찾아 크롤링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 색인 생성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콘텐츠나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색인을 다시 생성하도록 요청합니다.
- 사이트의 Google 검색 트래픽 데이터(Google 검색에 사이트가 표시되는 빈도, 사이트를 표시하는 검색어, 검색 사용자가 검색어를 클릭하여 연결하는 빈도 등)를 확인합니다.
- Google이 사이트에서 색인 생성, 스팸 또는 기타 문제를 발견하는 경우 알림을 수신합니다.
- 내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사이트를 표시합니다.
- AMP, 모바일 사용 편의성, 기타 Google 검색 기능 관련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제 만들어진 사이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검색]
구글 검색에서 구글 서치 콘솔을 검색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은 Google 계정과 연동됩니다.
[속성 유형 선택]
구글 서치 콘솔에서 지원하는 웹사이트의 속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속성유형을 URL 접두어로 선택하고 블로그 주소를 붙여넣으신후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권 확인]
소유권 확인을 위한 방법으로 다른 확인 방법에 HTML 태그를 선택합니다. 해당하는 태그를 복사한 다음 티스토리의 편집 <head> 섹션에 넣어줍니다.
* 확인 버튼 클릭전 아래 화면 다음의 티스토리 관리 사이트 작업을 먼저 해주셔야 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1]
네이버에서 사이트 소유확인전 블로그 관리화면에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메타태그를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블로그 관리화면에서 스킨편집을 클릭해주세요.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2]
우측상단의 html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버튼 클릭전 블로그 작업 3]
네이트 어드바이저 소유권 확인에서 복사해온 메타태그를 <head> 안에 붙여넣고 적용을 누르면 모든 작업이 끝납니다. 다시 구글 서치 소유권 확인 화면으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권 확인 완료]
티스토리 블로그 헤더에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된 메타태크를 등록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 사이트의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itemaps 제출]
소유권이 확인되면 아래와 같이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가 등록됩니다.
Sitemaps 항목을 선택하시고 새 사이트맵 추가에 rss 와 sitemap.xml을 제출 하시면 구글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작업이 완료됩니다.(rss와 sitemap.xml은 영문 소문자로 작성)
여기까지 이전 네이버 검색 강화 포스팅에 이어 구글 검색 강화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